본문 바로가기
슬E생(교육, 경제, 생활))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여당, 취약계층·소상공인 선별 지원,홈플러스, 기업 회생 절차 돌입!

by 슬커생로스터 2025. 3. 5.
728x90
반응형

▷슬커생  입니다.

오늘의 손경제 이슈 

1️⃣ 여당, 취약계층·소상공인 선별 지원… 그런데 1천만 명?

2️⃣ 홈플러스, 기업 회생 절차 돌입! 이유는?


1️⃣ 여당, 취약계층·소상공인 선별 지원… 그런데 1천만 명?

  • 여당, 소상공인 대상 시설 장비 바우처(최대 200만 원) 지원 추진.
  • 기존 소상공인 에너지 바우처(100만 원), 취약계층 선불카드(최대 50만 원) 포함해 "민생 추경 3종 세트" 강조.
  • 야당(민주당)전 국민 25만 원 지급(총 13조 원) 포함한 35조 원 규모 추경 주장.
  • 여당의 선별 지원 대상이 1,000만 명으로 확대, 총 11조 원 예산 예상.
  • 🔥 쟁점: "부자한테도 지원금?" vs. "핀셋 지원으로 효과 있을까?"

여당 vs 야당 추경 비교

  • 추경 논의 중단됐으나, 3월 6일 여야 협의체 가동 예정 → 논의 진전될지 주목!

 

📌 이재명 대표 'K-엔비디아' 발언 논란

  • "혁신 기업 키워 국민 지분 30% 확보하면 세금 의존 줄일 수 있다"
  • 비판: "사회주의적 발상" vs. 옹호: "TSMC(대만 반도체 기업)도 정부 주도로 성장"
  • AI·반도체 산업 육성 방향 두고 정치권 공방 지속.

 

 

2️⃣ 홈플러스, 기업 회생 절차 돌입! 이유는?

 

  •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개시서울회생법원 11시간 만에 결정.
  • "사전 예방적 조치" 주장 → 자금난 심화 방지 목적.
  • 신용등급 강등('A3-'로 하향) → 단기 자금 조달 어려움5월 자금 부족 우려.
  • 납품 대금 지연 지급 → 협력업체 불안감 증가.

📌 협력업체와 소비자 신뢰 문제

  • 지난해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 영향으로 협력업체 불안감↑.
  • 매출 대금 매일 들어오지만, 40~50일 단위로 협력업체 대금 지급 → 자금 운용 문제.
  • 기업회생 돌입 자체가 브랜드 신뢰도 하락 요인.

📌 금융권 영향: 1조 4천억 원 대출

  • 메리츠금융 위험 노출액만 1조 2천억 원 (메리츠증권 6,500억 원 포함).
  • 홈플러스 부동산 담보 확보 → 금융권 "회수 문제 없다" 입장.

📌 홈플러스 위기 원인

  • 2015년 MBK파트너스, 7.2조 원에 홈플러스 인수과도한 차입 부담.
  • 주요 점포 매각, 구조조정 → 본원적 경쟁력↓.
  • 2015년 매출 8.5조 원 → 2023년 6.9조 원 (10년간 감소).
  • 이커머스(쿠팡) 급성장, 오프라인 유통 위축온라인 투자 부족이 결정타.
  • 홈플러스 사례 → 오프라인 유통업계 전반적 위기 신호.

🔗 관련 기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280406642100040&mediaCodeNo=257

 

‘대형마트 2위’ 홈플러스 어쩌다…협력사·고객신뢰 추락에 ‘깜깜’

국내 2위(매출기준) 대형마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했다. 단기신용등급이 투자적격 등급 마지노선까지 하락하면서 시장 내 자금 조달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2조원 규모에

www.edaily.co.kr

 

 

 

 

#경제이슈 #정치경제 #추경 #소상공인지원 #선별지원 #보편지원 #K엔비디아 #반도체정책 #홈플러스 #기업회생 #유통업위기 #대형마트경쟁 #MBK파트너스 #신용등급하락 #자금난 #협력업체 #이커머스성장 #쿠팡 #TSMC #정부정책

경제 흐름을 읽고 미래를 준비하세요!

 

 

참고.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https://www.youtube.com/live/Gf9f-jpSFVE?si=kE35c0Wh6_j2vPBN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