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커생로스터 ♥ 입니다.
오늘의 손경제 이슈
1. 한국은행, 기준금리 0.25%p 인하…연 3.00%→2.75%
2. 위기에 뭉친다... 삼성·현대차 '휴머노이드 배터리' 동맹, HD현대·한화 '함정' 협력
3. 정부 “해제 가능 그린벨트 총면적 확대... 1·2급지도 개발 허용”
4. 다이소 3천~5천원대 건강기능식품 판매 시작... 약사들은 반발
안녕하세요. 독자적 입맛입니다! 오늘 손경제 시리즈를 헤드라인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
1. 한국은행, 기준금리 0.25%p 인하 (3.00% → 2.75%)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고, 경제성장률 전망을 1.5%로 하향 조정함.
- 이창용 총재의 '이게 우리 실력' 발언은 포기 선언이 아니라, 냉정한 현실 인식을 강조한 것.
- 글로벌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우리나라만 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어렵다는 평가.
-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의 경제 상황이 부진하여, 대외 경제 환경이 악화된 상태.
- 한·미 간 기준금리 차이 확대, 외환시장 변동성 등의 우려가 있지만, 최근 변동성이 줄어든 상태.
- 올해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도 열려 있음. 시장에서는 2~3회 추가 인하를 예상.
- 한국은행은 20조 원 규모의 추경이 경제성장률을 0.2%p 끌어올릴 수 있다고 분석했으나, 재정 건전성 우려도 함께 제기됨.
📌 관련 기사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997740&utm_source=chatgpt.com
한은, 기준금리 0.25%p 인하…성장률 1.5%로 하향 조정
한국은행 금융통화 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내렸습니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1.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부양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news.sbs.co.kr
2. 삼성·현대차 '휴머노이드 배터리' 협력 & HD현대·한화 '함정' 협력
- 삼성SDI와 현대차가 휴머노이드 로봇용 배터리 공동 개발 협약 체결.
- 기존 산업용 로봇은 전원 연결이 필요하지만, 휴머노이드 로봇은 이동형이라 배터리가 필수.
- 현재 배터리 기술로는 사용 시간이 1~2시간에 불과해,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함.
- 삼성SDI가 개발한 고용량 배터리를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이 테스트할 예정.
- 현대차의 로봇 자회사 보스턴다이내믹스에도 배터리를 공급할 가능성 높음.
- 자동차 기업들이 로봇 산업에 뛰어드는 이유:
- 자율주행 기술과 로봇 기술이 밀접한 연관이 있음.
- AI 기술 발전으로 로봇의 지능적 움직임 구현이 가능해짐.
-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 속에서 배터리 기업들에게 새로운 시장이 될 가능성 큼.
- 조선업체 간 협력:
-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글로벌 함정 시장 공동 진출을 위한 협력 체결.
- 해외 함정 수주를 위한 단일팀 구성이 중요해졌으며, 정부의 조정 역할도 있었다고 분석됨.
- 그러나 국내에서의 차기 구축함(KDDX) 사업 경쟁은 여전히 치열할 전망.
📌 관련 기사 링크:
🔗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170498?utm_source=chatgpt.com
현대자동차·기아, 삼성SDI와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 위한 업무협약 체결
현대자동차·기아가 삼성SDI와 협력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출력과 사용 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린 로봇 전용 고성능 배터리를 공동 개발한다.
www.hyundai.co.kr
3. 정부, '그린벨트 해제' 총면적 확대 (1·2등급지 개발 허용)
- 정부가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그린벨트 해제 기준 완화 발표.
- 기존에는 1·2등급지는 보존가치가 높아 개발 불가했지만, 조건부 해제 허용.
- 수도권을 제외한 6개 권역에서 15곳이 선정되어 총 42㎢(여의도 15배 규모) 그린벨트 해제 예정.
- 기대 효과:
- 약 27조 8천억 원 투자 유치.
- 124조 5천억 원 생산 유발효과.
- 38만 명의 고용 창출 예상.
- 논란:
- 기존에도 지방 산업단지 공실률이 높아 실질적 효과가 의문시됨.
- 환경단체는 '기후위기 대응 역행'이라며 반발.
- 정부는 토지 거래 허가구역 지정 및 이상 거래 감시로 투기 방지 대책 발표.
📌 관련 기사 링크: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5087300003?input=1195m
여의도 15배 면적 지방 그린벨트 푼다…지역전략사업 15곳 선정 | 연합뉴스
(세종=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정부가 비수도권 지역전략사업 15곳 조성을 위해 여의도 면적 15배 규모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를 해제한다.
www.yna.co.kr
4. 다이소, 3천~5천 원대 건강기능식품 판매 개시 (약사 반발)
- 다이소가 24일부터 전국 200개 매장에서 초저가 건강기능식품(건기식) 판매 시작.
- 대웅제약, 종근당건강, 일양약품과 협업하여 한 달 분 비타민을 3천~5천 원대로 판매.
- 기존 약국 대비 가격이 5분의 1 수준.
- 약사 반발:
- 편의점, 올리브영에 이어 다이소까지 건기식을 판매하면 약국 매출이 감소할 가능성 높음.
- 약사들은 다이소 제휴 제약사 제품 거부·반품 가능성 제기.
- 소비자 반응:
- **"저렴하고 가격이 균일해 좋다"**며 긍정적인 평가 다수.
- 약국에서 동일 제품을 더 비싸게 판매하는 것에 대한 불만도 나옴.
참고.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https://www.youtube.com/live/MR_0wWIr6ts?si=LLM_oX3xdPzi0kFd
#한국은행 #기준금리인하 #경제성장률 #트럼프관세정책
#한미금리차 #삼성SDI #현대차로봇 #휴머노이드배터리
#자율주행기술 #HD현대 #한화오션 #그린벨트해제
#지역전략산업 #부동산개발 #건기식 #다이소영양제
#약국반발 #소비자반응 #초저가건강기능식품 #경제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