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슬커생로스터 ♥ 입니다.
오늘의 손경제 이슈
1. 정부, 상속세 전면 개편…유산취득세 도입
2.美,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한국도 예외 아냐
3. GTX-C 노선, 공사비 급등으로 착공 지연…좌초 위기
1. 정부, 상속세 전면 개편…유산취득세 도입
- 유산취득세 도입, 핵심 내용
- 기존: 상속 재산 전체를 한꺼번에 과세(유산세 방식).
- 변경(안): 상속인 각자가 물려받은 재산액에 따라 세율·공제를 적용(유산취득세 방식).
- 누진 구조 특성상, 여러 명이 나눠 상속받으면 과세 대상 재산이 ‘쪼개져서’ 세율이 낮아짐 → 세금 부담이 크게 줄어드는 효과.
- 상속세율 구조
- 최저 10%부터 최고 50%까지 5단계 누진세율(1억 이하 10%, 30억 초과 50% 등).
- 유산취득세 도입 시, 각 상속인이 받는 재산 규모에 따라 개별적으로 낮은 세율을 적용받는 것이 핵심.
- 구체 사례 비교
- (예시) 30억 재산을 배우자·자녀 두 명이 각 10억씩 상속
- 현행: 전체(30억)를 기준으로 계산 → 배우자공제 10억 + 일괄공제 5억 제외 후 과세표준 15억에 최대 40% 세율 → 총 세액 약 4억4천만 원.
- 변경(안): 배우자는 10억 재산을 전액 공제(과세표준 0원), 자녀 각 10억에서 5억씩 공제 후 남은 5억에 20% 세율 → 자녀 각 9천만 원씩 부담 → 총 1억8천만 원.
- 약 60% 이상 세금 절감 효과.
- (예시) 30억 재산을 배우자·자녀 두 명이 각 10억씩 상속
- 자녀 공제 대폭 확대
- 기존: 자녀 공제 1인당 5천만 원.
- 변경(안): 자녀 1인당 5억 원 공제.
- (예시) 배우자 없이 자녀 3명에게 15억 상속 → 현행 기준으론 일괄공제 5억 후 나머지 10억에 세금 2억4천만 원.
- 변경(안) 적용 시 자녀 3명 각각 5억 원씩 공제 → 과세표준 0원 → 세금 부담 ‘0’ 원 가능.
- 다자녀·재산 규모 클수록 유리
- 유산취득세 체계에서는 상속인이 많을수록 공제 폭이 늘어나고, 개인별 과세 표준이 낮아져서 세율도 낮아짐.
- 부유층 다자녀 가정일수록 누진세율을 더 많이 낮출 수 있어 혜택이 큰 편.
🔗 관련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2046900002
다자녀 부자일수록 상속세 확 준다…15억 집 물려주면 2억→0원 | 연합뉴스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정부가 12일 발표한 유산취득세 안의 핵심은 상속인별로 받은 재산에 각각의 공제·세율을 적용해 세금을 부과하는...
www.yna.co.kr
2.美,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한국도 예외 아냐
- 배경 및 달라진 점
- 트럼프 행정부 1기 때도 철강(25%), 알루미늄(10%) 관세 부과 경험 있음.
- 이번에는 철강·알루미늄 둘 다 25%로 동일하게 적용하고, 파생 상품 범위도 확대.
- 이전에는 유럽·한국 등 예외국이 있었으나, 이번에는 예외 없이 모든 국가에 25% 부과.
- 한국에 미치는 영향
- 기존: 연 263만 톤까지는 관세 면제, 그 이상 수출 어려움.
- 변경: 면제 한도 폐지 → 수출 물량 제한은 없지만, 관세 25% 부담.
- 미국 내 철강 가격 상승 추세(약 30% 상승)로 인해, 한국산 가격 경쟁력이 유지될 가능성도 존재.
- 유럽연합(EU)의 보복 관세 예고
- 미국산 보트, 위스키, 청바지 등에 관세 부과 계획 발표.
- 협상 여지를 남겨 두고, 다음 달부터 부과하겠다는 입장.
- 캐나다와 미국 간 갈등 사례
- 캐나다, 보복 조치(미국산 주류 퇴출·전력요금 인상 예고) → 미국은 캐나다에만 50% 관세 부과 경고.
- 결국 캐나다가 물러서며 25% 관세로 일단락.
🔗 관련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3050300003?section=search
정부, 이달 중 철강산업 대책 발표…美 철강관세 등 대응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정부가 미국의 철강 25% 관세 부과로 강화되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이달 중 철강 통상 및 수...
www.yna.co.kr
3. GTX-C 노선, 공사비 급등으로 착공 지연…좌초 위기
- GTX-C 노선, 공사비 급등으로 착공 지연…좌초 위기
- 사업 개요
- 경기도 양주 덕정 ~ 수원 잇는 86.46km 구간의 수도권 광역 급행 철도.
- GTX-A, B와 함께 1기 사업 구간, 총사업비 4조 6,084억 원(2020년 기준).
- 지연 원인
- 코로나19 이후 건설 자재, 인건비, 장비 비용 급등 → 사업성 크게 악화.
- 민간 투자(BTO) 방식: 공사비 상승분은 사업자가 부담해야 함.
- 금융권도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꺼려 → 건설사들이 착공계 제출 보류.
- 개통 시기 불투명
- 당초 2028년 개통 목표 → 착공 지연으로 2030년 이후로 늦춰질 가능성 높음.
- 상황 악화 시 착공 자체가 무산될 수도 있음.
- 연계 부동산 개발 차질
- 서울 양재역 일대 복합 개발 계획 등도 연쇄적으로 지연
참고.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https://www.youtube.com/watch?v=G1umbE0BQkE&list=PL-5ePmULnsmQC-0mUieeuYSeW1xF-wdWV&index=1
- #경제뉴스
- #상속세개편
- #유산취득세
- #배우자공제
- #미국철강관세
- #알루미늄관세
- #수출경쟁력
- #무역전쟁
- #EU보복관세
- #캐나다미국관세
- #GTXC노선
- #교통인프라
- #대규모프로젝트
- #민간투자사업
- #공사비급등
- #부동산개발
- #경기도교통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 #인플레이션
- #손경제보충수업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슬커생로스터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