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20일)부터 인천에 계신 분들은 일상회복 지원금 신청이 온라인으로 시작 되었을 텐데요. 지자체에서 주는 지원금 놓치지 말고 챙기시길 바랍니다. 지자체로부터 돈을 받고 나면 잠시 기분은 좋기는 합니다만 점점 올라가는 체감물가에 좀 겁이 나기도 해요.
가장 직격탄을 맞는 밥상물가(계란, 설탕, 우유값 상승) 심지어는 커피 생두 가격 상승까지 오르지 않는 거라고는 직장인의 월급이라지요? 전해드릴 소식은 또 한번 우리의 물가지수를 체감하게 할 소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슬커생 로스터 입니다.♥
우선 의료실비라 불리우는 실손보험에 대하여 먼저 알아보도록 할게요.
[본 포스팅 컨텐츠는 Desktop 화면에 최적회 되어 있음을 알려드려요.]
■ 실손의료보험 개요
▼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료)이란? 병·의원 및 약국에서 실제로 지출한 의료비·약제비를 보상해 주는 보험으로,줄여서 실손보험이라고도 한다.
|
▼ 판매 시기에 따른 실손보험
|
▼ 실손보험 가입자 현황
|
[자료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오른다는 실손보험료 보험사들이 계속되는 적자를 이유로 올해 초 인상에도 불구하고 내년 1월 갱신을 20%정도 올리겠다고 주장한다고 하는데요 해당 보험사들은 보험료 인상 15일 전까지 해당 고객에게 고지할 의무로 인해 보험료 예상 인상률에 대한 안내문을 발송하고 있다고 합니다.
■ 실손의료보험 2021년 실손보험 인상률
세대구분 | 시기 | 인상률 |
1세대 | 2009년 10월 이전 판매 | 17.5% ~19.6% |
2세대 | 2009년 10월∼2017년 3월 | 11.9% ~ 13.9% |
3세대 | 2017년 4월~2021년 6월 | 동결 |
▶ 실손보험료의 결정 : 2015년 이후 보험 가격 자율화 시행 이후 보험사가 자율적으로 결정
※ 단, 보험업 감독 규정에 의해 매년 보험료 인상 인하의 범위를 25%를 초과하지 않도록 함.
가격 자율화 이후 보험사가 2년 연속 20% 인상으로 금융당국이 나선 상황이라고 합니다. 현재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인상률을 15% 선에서 논의하고 있다 합니다.
▼ 세대별 실손 보험 비교
세대 | 가입 시기 | 자기부담금 | 갱신주기 |
1세대 | ~ 2009년 9월 | 0% | 1~5년 |
2세대 | 2009년 10월~2017년 3월 | 10~20% | 1~3년 |
3세대 | 2017년 4월~2021년 6월 | 10~20% | 1년 |
4세대 | 2021년 7월~ | 20~30% | 1년 |
실손 보험료 인상폭이 매년 커지고 있는 이유는 1~2세대 경우 자기 부담률이 0~20%로 낮아 무분별한 의료쇼핑 등에 실손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도수치료, 백내장 등 비급여 혜택 보신 적 있으신가요? 과잉의료 등으로 인해 보험료 상승이 예상 된다고 하니 실손을 별로 이용하지 않은 조금 손해보는 느낌입니다.
▼ 보험료의 손해율 계산 방법은?
실손보험 가입 세대별로 다른 갱신 주기인 것이 한 눈에 보이시나요? 수치적설명을 해 드릴게요.
세대별 손해율(단위%) | |
1세대 | 140.7 |
2세대 | 128.6 |
손해율은 보험료 수입 대비 보험금 지급 비율 |
1세대 실손보험 손해율은 140.4%, 즉 보험료로 1000원을 지급받아 1404원을지금했다는 의미입니다.
2세대 실손보험 손해율은 128.6%, 즉 보험료로 1000원을 지급받아 1286원을지금했다는 의미입니다.
손해율에 대한 이해가 되시나요?
▼ 나의 보험료 인상폭은?
세대 | 가입 시기 | 자기부담금 | 갱신주기 |
1세대 | ~ 2009년 9월 | 0% | 1~5년 |
2세대 | 2009년 10월~2017년 3월 | 10~20% | 1~3년 |
3세대 | 2017년 4월~2021년 6월 | 10~20% | 1년 |
4세대 | 2021년 7월~ | 20~30% | 1년 |
가입한 시기에 따라 갱신 주기가 다른 것이 보이시나요? 3,4세대는 갱신주기가 1년인것에 비해 1,2세대의 실손의료보험의 경우에는 최대 5년까지 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실손보험은 몇 세대이고, 몇 년 주기 갱신인가에 따라 인상폭은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상률에 대한 것은 1년 기준 복리 계산이 원칙이므로 계산을 하실 때에는 조견표를 보시거나 계산기로 계산을 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예시 조견표를 한 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갱신 기간 | 1년 | 3년 | 5년 |
15% 인상 | (1.15)^1=1.15 | (1.15)^3≒1.52 | (1.15)^5≒2.01 |
115% | 152% | 201% | |
초과부담금 15% | 초과부담금 152% | 초과부담금 101% | |
20% 인상 | (1.2)^1 | (1.2)^3≒1.73 | (1.2)^5≒2.49 |
120% | 173% | 249% | |
초과부담금 20% | 초과부담금 73% | 초과부담금 149% |
이번에 갱신되는 1세대 가입자의 보험료 인상률은 금융당국의 권고를 기준으로 한다면 기준 납입금 대비 201%가 되네요. 15% 인상을 가정하면 3년 갱신 기준 1.52배, 5년 기준 2.01배/ 20% 인상을 가정하면 3년 기준 1.73배, 5년 기준 2.49배가 되겠습니다.
▼ 실손 보험 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유리한가?
세대 | 가입 시기 | 자기부담금 | 갱신주기 |
1세대 | ~ 2009년 9월 | 0% | 1~5년 |
2세대 | 2009년 10월~2017년 3월 | 10~20% | 1~3년 |
3세대 | 2017년 4월~2021년 6월 | 10~20% | 1년 |
4세대 | 2021년 7월~ | 20~30% | 1년 |
기존의 실손 보험의 경우 자기부담금이 현재 실손 보험에 비해 적기 때문에(상단 표를 참고하세요)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 비급여 해당 부분의 차이가 클 것이라 예상됩니다. 그러나, 실손보험료 인상이 부담스럽다면 현재의 실손 보험을 해약하고 4세대 실손으로 갈아타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4세대 실손보험의 경우 비급여 보장이 기존에 비해 적고 보험 환승시 최대 4배까지 할증이 있다 합니다. 또한, 4세대 실손보험(의료실비)의 경우 1년 마다 보험료가 갱신되고 5년 마다 재계약 형식이라 본인의 의사와 상관 없이 현재 판매중인 실손보험으로 가입하는 대신 보험료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어느 것이 좋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지병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납입금은 많더라도 기존의 실손보험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이지만 실손보험료를 거의 이용한 적이 없는 분들은 4세대 보험으로 바꿔야 할 지를 고민해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관련기사]
http://www.fi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2233
https://www.news1.kr/articles/?4528446
♥ 정보가 마음에 드시면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