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E생(교육, 경제, 생활))/Economy Info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 중국 AI 모델 ‘딥시크 쇼크’ 분석

슬커생로스터 2025. 1. 31. 12:41
728x90
반응형

▷슬커생  입니다.

오늘의 손경제 이슈

1. 미국 반도체·배터리 보조금 재검토

2.  중국 AI 모델 ‘딥시크 쇼크’

3. 미국 연준,  기준금리 4.25~4.5% 동결


 

미국 반도체·배터리 보조금 재검토

=> 국내 산업계 타격 가능성

  • 트럼프 2기 행정부, 산업보조금 정책 재검토 방침 발표
  •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지명자, 바이든 행정부의 보조금 지급 약속 전면 재검토 시사
  •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연방 보조금 및 대출금 지출 잠정 중단 명령
  • 미국 내 반도체·배터리·자동차 업계에 큰 타격 예상

 

▷ 반도체 업계 영향

  • 삼성전자,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370억 달러 투자
  • 미국 정부와 47억 4,500만 달러 보조금 지급 계약 체결 (보류 가능성)
  • SK하이닉스, 인공지능(AI) 메모리용 패키징 공장 투자 (보조금 4억 5,800만 달러 지원 예정)
  • 대만 TSMC는 일부 보조금 지급받음, 한국 기업들은 미지급 상태

 

 자동차·배터리 업계 영향

  • 현대기아차, 미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 2위
  • 전기차 세액공제(대당 7,500달러) 정책이 폐기되면 시장 경쟁력 약화
  • 2차전지 산업, 인플레이션 감축법(AMPC) 통한 세액공제 지원 중단 가능성
  • 보조금 중단 시 배터리 업체의 적자 불가피

 

 정치적 변수

  • 미국 민주당 및 일부 법무장관들, 연방 보조금 중단 조치 소송 제기
  • 트럼프 행정부 정책 견제 움직임 확대

 


 

중국 AI 모델 ‘딥시크 쇼크’ 분석

  • 저비용으로 챗GPT와 유사한 성능의 AI 모델 개발 발표
  • AI 반도체 시장에 대한 우려 확산 → 미국 중심 AI 시장 견고하다는 분석 대두

 

딥시크 AI 모델 의혹

  • 챗GPT(오픈AI) 모델을 베꼈을 가능성 제기
  • 개발 비용(500만 달러)이 지나치게 낮다는 의심 (비공식적으로 더 많은 자금 투자 가능성)
  • 중국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 5억 달러 규모의 엔비디아 GPU 구매 정황

 

 미국 중심 AI 시장 견고 전망

  • 저비용 AI 모델 개발은 시장 확대 기여 가능
  • 미국 정부, 중국 AI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예상
  • 메타·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 AI 투자 지속 의사 표명

 

 미국의 대응 방향

  • AI 오픈소스 전략에 대한 보완책 논의
  • 엔비디아 반도체 수출 규제 확대 가능성
  • AI 패권 경쟁 본격화 전망

 

관련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50131052000017?input=1195m

 

딥시크, 접속자 폭주에 이틀 연속 서버 불안정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중국 인공지능(AI) 챗봇 딥시크(Deepseek)에 접속자가 폭주하며 이틀 연속으로 서버가 장애를 겪고 있다...

www.yna.co.kr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400966642043296&mediaCodeNo=257&OutLnkChk=Y

 

한은, 美증시 뒤흔든 '딥시크 충격'에 "국내 영향 예의주시"

한국은행이 설 연휴 기간 중국산 저비용 인공지능(AI) 모델인 ‘딥시크’ 충격으로 미국 증시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된 점이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내

www.edaily.co.kr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50131/130943433/2

 

저비용 ‘딥시크’의 역습… 美中 AI 전쟁 불붙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 출범 뒤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등을 놓고 양국 간 대립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분야에서도 두 나라가 치열한 패권 전쟁에 돌…

www.donga.com

 

 


 

미국 연준, 기준금리 4.25~4.5% 동결

  • 트럼프의 금리 인하 압박에도 연준, 금리 동결 결정
  • 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는 입장
  • 개인소비지출(PCE) 상승률 증가(2.1% → 2.4%)로 물가 상승 우려
  • 3월까지 금리 동결 예상, 6월 금리 인하 가능성 대두

 

 침수차 수출 허용 법안 발의

  • 기존 법률: 완전 침수차 및 부품 수출 금지, 30일 내 폐차 의무화
  • 법 개정안: 자원 재활용 목적으로 수출 허용 추진
  • 수출국 대부분 침수차 수출 허용, 한국만 전면 금지
  • 국내 불법 유통 차단을 위한 제도 보완 필요

 

참고.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https://www.youtube.com/watch?v=TKa8kpaP5rg&t=41s

 

#미국보조금 #트럼프행정부 #반도체산업 #배터리보조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기아차 #전기차세액공제 #AI산업 #딥시크 #챗GPT #미국연준 #금리동결 #침수차수출 #자원재활용 #경제정책 #중국AI #AI패권경쟁 #반도체규제 #전기차시장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