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E생(교육, 경제, 생활))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소액주주 창업자 해임,순대외금융자산 1조 달러 돌파,대출 모집인 1사전속 폐지

슬커생로스터 2025. 3. 1. 15:54
728x90
반응형

▷슬커생  입니다.

오늘의 손경제 이슈 (25.02.28)

1. 소액주주의 힘: 창업자 해임까지 (아미코젠)

2. 한국, 순대외금융자산 사상 첫 ‘1조 달러’ 돌파

3. 대출 모집인 ‘1사 전속’ 폐지 추진


1. 소액주주의 힘, 창업자까지 해임한 사건

🔹 아미코젠 소액주주들의 반란

  • 코스닥 상장사 아미코젠(시가총액 약 2,400억 원)
  • 세포 배양에 필요한 특수 영양분(배지) 국산화 성공, 연 매출 1천억 원 이상의 바이오 기업
  • 하지만 소액주주들이 결집해 창업자이자 대표이사인 신용철 회장을 이사직에서 해임

🔹 해임 이유

  1. M&A 실패
    • 2021년, 600억 원에 유산균 전문기업 ‘비피도’ 인수
    • 그러나 인수 후 실적 하락 → 유상증자(신주 발행)로 자금 조달
    • 창업자는 유상증자에 소액만 참여
    • 2023년, 인수한 회사를 150억 원(4분의 1 가격) 에 매각
  2. 부동산 투자 실패
    • 창업자가 개인적으로 추진하던 부산 부동산 개발 사업
    • 개발이 어려워지자 회사 자금 30억 원을 끌어다 씀
    • 프로젝트 무산 → 회사 자금 손실
  3. 주가 폭락
    • 2021년 주가 2만 원대 → 현재 4천 원대로 80% 하락
    • 이에 분노한 소액주주들이 주총에서 해임 결정

🔹 소액주주 결집의 힘

  • 보통 이사를 해임하려면 출석 주주의 3분의 2 찬성 필요 → 까다로운 조건
  • 하지만 소액주주들이 지분 30%를 모아 영향력 강화
  • 주총에서 80% 찬성표로 창업자 해임

🔹 소액주주 플랫폼이 중요한 역할

  • 소액주주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의결권 위임 가능
  • 앱에서 논의, 주주제안 안건 만들기, 의결권 위임까지 가능
  • 현재 소액주주 플랫폼 가입자 12만 명 돌파 →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력 커질 전망

🔗 관련 기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22615492315767&type=1

 

최대주주 해임한 아미코젠 "새 투자자 찾겠다" - 머니투데이

"회사를 안정되게 끌고 갈 수 있는 새로운 투자자를 찾겠습니다." 김준호 아미코젠 경영기획본부장 부사장은 26일 임시주주총회 후 기자와 만나 경영권 안정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할 것인지 묻

news.mt.co.kr

 


📌 다음 타깃은 이마트?

🔹 이마트 소액주주들의 요구

  • 이미 이마트 지분 20% 확보
  • 현행 상법상 자본금 1,000억 원 이상 상장사는 0.5% 지분만 있어도 주주제안 가능
  • 소액주주들이 이마트 측에 공식적인 주주서한 전달

🔹 3가지 핵심 요구사항

  1. 자사주 매입 후 소각
  2. 집중투표제 도입
    • 3명의 이사 후보 중 원하는 사람에게 표를 몰아줄 수 있는 방식
    • 소액주주들도 자신들의 입장을 대변할 이사 선출 가능
  3. 보수심의제 도입
    • 정용진 회장이 미등기 임원으로 높은 연봉을 받는 문제 지적
    • 등기이사로 들어와 주주총회에서 보수 승인 받도록 요구

🔹 기업 측 반응

  • 이마트는 자사주 매입 소각에는 긍정적
  • 하지만 집중투표제·보수심의제 도입에는 거부감

🔹 다른 기업들도 소액주주 행동주의 타깃

  • 롯데쇼핑, 차바이오텍, 제이알글로벌리츠 등
  • 기업 투명성 강화 vs. 단기 주가 상승 요구로 인한 경영 부담 논란

🔗 관련 기사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743631

 

'투자실패' 창업주 자르더니…이젠 '대기업' 노리는 개미들

'투자실패' 창업주 자르더니…이젠 '대기업' 노리는 개미들, 플랫폼서 뭉친 '개미군단' 사상 초유의 창업주 해임 소액주주 플랫폼 통해 의결권위임 대기업도 사정권 아미코젠 주총서 대표이사

www.hankyung.com

소액주주 플랫폼 - 액트/헤이홀더/비사이드

 

2. 한국, 순대외금융자산 사상 첫 ‘1조 달러’ 돌파

🔹 순대외금융자산이란?

  •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에 가진 금융자산 – 외국인이 한국에서 보유한 금융자산
  • 즉, 외국인 자본이 빠져나가도 한국이 보유한 해외 자산이 많으면 환율 안정성 유지 가능

🔹 1조 달러 돌파 의미

  • 2023년 말, 한국의 순대외금융자산 1조 달러(약 1,400조 원) 돌파
  • 일본, 독일 등과 함께 전 세계 8개국만 보유
  • 과거(2014년)에는 마이너스 → 외환위기 발생 가능성이 컸음
  • 현재는 유사시에도 환율 방어 가능 → 외환위기 가능성 낮아짐

🔹 외환위기 트라우마 극복

  • 1997년 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 달러 부족으로 경제 불안
  • 하지만 현재는 순대외금융자산 증가로 외국인 자본 이탈에도 대응 가능

🔗 관련 기사: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27000402

 

순대외금융자산 '1조 달러' 처음으로 넘었다

[서울=뉴스핌] 온종훈 기자 = 작년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대외 금융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대외금융자산이 사상 처음으로 1조 달러를 넘어섰다.한국은행은 27일 '2024년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newspim.com

 

 


3. 대출 모집인 ‘1사 전속’ 폐지 추진

🔹 1사 전속 제도란?

  • 현재 대출 모집인은 한 개의 금융사와만 계약 가능
  • 소비자가 여러 대출 상품을 비교하기 어려운 구조

🔹 폐지되면 어떻게 달라지나?

  • 한 명의 모집인이 여러 금융사와 계약 가능
  • 소비자는 다양한 대출 상품을 비교 후 선택 가능
  • 금융사 간 금리 경쟁 심화 → 더 낮은 금리 제공 가능성

🔹 금융권 우려

  1. 수수료 유리한 상품 추천 가능성
  2. 대출 갈아타기 과도 유도 가능성
    • 불필요한 대출 변경으로 금융 소비자 피해 가능

🔹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 금융사 간 경쟁이 심화되면 낮은 금리 대출 가능
  • 하지만 모집인이 소비자보다 자신의 이익을 우선할 가능성 대비 필요

 

 

참고.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https://www.youtube.com/live/pv3xVmpeNQ0?si=RlVPPUbz0QCqG4bY

 

 

 

#소액주주 #주주권리 #기업지배구조 #주식투자 #아미코젠

#이마트주식 #M&A실패 #경영책임 #코스닥 #주총 #해외금융자산

#외환위기 #환율안정 #달러보유 #금융시장 #대출비교

#대출모집인 #1사전속폐지 #금융정책 #소비자보호

728x90
반응형